[황학주의 제주살이] (63)여행자의 산문

[황학주의 제주살이] (63)여행자의 산문
  • 입력 : 2022. 12.06(화) 00:00
  • 김채현 기자 hakch@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온 한국어과 교수와 점심을 먹으며 여행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내가 강연을 갔을 때 백야의 바다가 보고 싶다고 하자 자정 가까운 시간에 함부르크 항에 데려다 주고 혼자 밤 산책을 하는 동안 차에서 기다려준 사람이다. 그런 인연으로 제주에서 반가운 해후를 하게 된 그는 여행작가이기도 하다.

그는 여행이야말로 자기 삶의 본편이며 나머지는 예고편이거나 미완성의 일기 같은 것이라고 했다. 나는 서문만 있고 본문이 없는 책. 그래도 충분히 책인 책. 만약 그런 책을 갖는다면 어떤 책보다 아름다울 수 있을 거라는 말을 했다. 내게는 어쩐지 연속적이지만 미완성인 조각난 글, 그런 삶의 서문에 해당하는 게 여행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미완성 자체로 그냥 좋은 것이다.

삶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든, 또 내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든 내 뜻대로 안 되는 그런 불만족스럽고, 금방 사라지고 마는 추억들은 우리의 삶을 '여행스럽게' 해주는 요인일 것이다. 그게 나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살아보면 만족이란 인생에서 별로 좋은 게 아니고, 사실 못다 한 게 있어야 살 만 한 일이기도 하지 않던가. 1차적으로 여행은 단순히 몸이 이동하는 게 아니라 나의 무언가가 그곳으로 옮겨지는 행위이다. 옮겨진 나의 무언가가 그곳에서 어떻게 되고 어떻게 달라지는가? 그게 가장 의미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행지 자체는 그다음 문제다. 풍경, 건물과 공간, 사물, 사람들, 특별한 경험 등등은 그 첫 번째와 어떤 관계를 맺는 것인데, 이건 그 사람의 사고와 능력에 따라 다른 에너지가 된다.

일본의 세계적인 화가 구마가이 모리카즈처럼 여행을 안 하는 사람도 있다. 그는 말년의 30여 년 동안 집 밖으로 나가지 않은 채 자신의 집과 정원에 칩거한 채 주변의 동식물을 그렸다. 그는 기쁘게 자기 세계 속으로 들어가버린 것이다. 현대와 과거가 기억 속에서 공존하는 것처럼, 여행도 여행하는 것과 여행하지 않는 것이 여행 안에서 공존하고 있다. 따지고보면 인생이란 모든 것이 여행인 셈이다.

이야기를 나누다 우리는 연락두절 상태, 그거야말로 여행 자체다, 라고 이구동성으로 소리쳤다. 그는 또 "제주는 매우 성스러운 느낌이 드는 장소이며, 특히 곶자왈과 오름을 볼 때마다 숨이 멎는 듯했다."고 말했다. 제발 제주 여행이 여기서 끝나주기를 바란다고도 했다. 좋은 곳을 두 번 세 번 갈 수 있지만 처음 갔을 때의 느낌은 딱 한 번뿐이다. 아마도 그런 의미였으리라. 그리고 그 말의 뜻은 제주는 정말 한번 지나치기에는 아까운 곳이라는 말과 같다. <시인>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16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