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고령화 농촌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2029년까지 1200여 억원을 투입해 45세 미만 청년농업인 비중을 1200가구까지 육성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4000가구에 육박하던 청년농업인이 800여 가구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고령농 비중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책 마련은 발등의 불이 됐다.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청년 농업가구는 2014년 3949가구에서 2023년 851가구로 급감했다. 농가 3만 357가구 중 청년농업의 비중도 10.3%에서 2.8%까지 쪼그라들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농은 39.4%에서 52%로 늘었다. 절반 이상이 고령농이다. 문제는 현재 청년 농가 중 70% 이상이 5년 이내 '청년' 지위에서 해제돼 청년농업인구가 사라질 수 있다는 데 있다. 2029년엔 700가구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그 이후의 상황은 불 보듯 뻔하다. 그동안 어느 정도 예견됐지만 정부나 지자체의 대책은 별 효용이 없었다.
제주도는 향후 5년간 총 1226억원을 투자해 1200가구의 청년농업인 육성할 계획을 마련했다. 산술적으로 가구당 1억원 꼴이다. 청년 창업농 지원을 비롯 대학생 농업 체험 캠프, 신규농업인 영농기술 향상, 청년 농업인 네트워크 조성, 전문 농업경영인 지원, 스마트팜 확산사업 등을 계획하고 있다. 실효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인구 소멸 문제가 직면해 있다. 농업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절대적으로 인력이 부족하다. 버겁지만 손을 놓고 있을 순 없다. 농업은 우리 삶과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실행 가능한 것부터 구체화해 나가야 한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