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공원 일대 "자연·삶·역사 품은 공원으로"… 관건은?

신산공원 일대 "자연·삶·역사 품은 공원으로"… 관건은?
지난 19일 '제주 역사문화기반 구축 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
역사·문예·생태 3구역 '(가칭)제주 역사문화지구' 밑그림 윤곽
설문조사 결과 사업 추진 및 방향성 두고 주민·전문가 '온도차'
  • 입력 : 2024. 01.21(일) 14:45  수정 : 2024. 01. 23(화) 09:10
  • 오은지기자 ejoh@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 19일 열린 '제주 역사문화 기반 구축 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용역진(제주연구원)이 제시한 가칭 제주 역사문화지구 기본 구상안.(제주도청이 제공한 중간보고회 자료 발췌)

[한라일보] 제주 신산공원 일대를 잇는 민선8기 오영훈 제주도정의 문화부문 공약사업 '제주 역사문화 기반 구축'사업의 밑그림이 윤곽을 드러냈다.

지난 19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제주 역사문화 기반 구축 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용역진(제주연구원)은 '제주의 자연과 사람, 역사를 품은 공원'을 주제로 한 (가칭) 제주 역사문화지구 기본 구상안을 제시했다.

용역진은 발표자료에서 우선 사업대상지인 신산공원을 현재 근린공원(시설률 40% 제한)에서 주제공원(시설률 제한 없음)으로의 변경 제안에 대한 검토 결과 근린공원으로 유지한 채 제주의 역사·문화 주제를 입힌 공원 및 역사관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했다.

주제공원은 역사공간이라는 상징적 효과의 장점이 있지만 선행연구 결과 전국 역사공원들이 근린공원과 크게 차별성이 나타지 않고, 시설률 제약이 없어 심할 경우 녹지율이 10%대로 떨어지거나 목적이 전도돼 시설만 들어선 사례들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도심 내 제주를 총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랜드마크의 위상을 갖게 될 '(가칭) 제주 역사문화지구'의 전체구상(안)은 제주의 마을과 자연, 제주인의 삶, 제주어를 입혀 제주의 자연과 제주인의 삶을 보여주는 '제주마을(Jeju Village)'의 개념이 도입됐다. 용역진은 공원의 이름으로 '신산 제주 자연&삶 공원'(안) 또는 '탐라역사문화공원(안)'을 제안했다.

세부적으로 신산공원 일대를 '역사민속·자연생태·문화예술' 3개 구역으로 구분해 역사·문예·생태 올레로 구성하는 것이다.

'역사민속' 구역은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삼성혈을 연결하는 공간에 제주의 자연, 민속, 역사 내용을 배치하고, '자연생태'구역은 민속자연사박물관과 제주 문예회관 사이 자연림을 생태보존지역으로 지정해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또 '문화예술'구역은 제주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제주의 문화, 예술에 대한 내용을 배치하는 안이다.

더불어 용역진은 '(가칭) 제주역사관' 시설 구상안으로 현재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 광장을 활용한 신축 또는 기존 수눌음관을 활용한 리모델링 및 증축안 등을 제안했다.

|주민 수용력 확보·공감대 형성 과제… 예산 확보도 관건

이와 관련 총 사업비(토지 매입 등 제외)는 390억원(지구 조성 230억원, 역사관 조성 150억~160억원)으로 추산됐는데, 향후 사업 추진 시 재원 확보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주민 수용력 확보 및 공감대 형성도 과제다.

용역진이 지난해 10~11월 신산공원 인근 10개 동 주민(304명)과 전문가 집단(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주민과 전문가 간 온도차를 보였다.

우선 제주 역사문화기반 구축 사업 추진 필요성에 대해 주민은 40.5%, 전문가는 83%가 '필요'하다고 답했는데, 용역진은 사업 추진 시 주민 수용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사업의 방향성을 두고도 주민은 산책 및 스포츠 등의 여가공간으로 조성되길 희망했고, 전문가는 인근 문화예술 시설과 연계해 역사, 문화, 예술 등 특수 목적성을 갖는 지구의 조성을 방향성으로 제시하는 등 차이를 보였다.

용역진은 전문가 의견을 사업 추진 방향에 비중 있게 반영할 경우,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사전 주민을 충분히 설득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삼성혈 연계 제주역사관 조성 필요성에 대해서도 주민은 31.6%, 전문가는 78%가 '필요'하다 응답하는 등 대조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에 용역진은 주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과업을 사전에 추진할 것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함께 신산공원 공간 현황 조사 결과 편입됐으나 수용되지 않은 묘지와 비고시 시설조형물이 파악되면서 이 문제를 해소·처리하는 것도 선결 과제로 꼽힌다.

한편 제주도가 사업비 1억8000만원을 투입해 지난해 5월 말 제주연구원과 계약을 체결해 진행되고 있는 이번 용역은 오는 5월 완료될 예정이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24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