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아이돌봄서비스, 가정과 사회에 이득

[열린마당] 아이돌봄서비스, 가정과 사회에 이득
  • 입력 : 2025. 03.31(월) 02:00
  • 오소범 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 그레고리 맨큐의 저서 '맨큐의 경제학'에서는 마이클 조던의 예를 들어 비교우위 이론을 설명한다. 마이클 조던이 잔디를 잘 깎더라도 농구에 집중하는 것이 자신과 사회에 더 큰 이익을 가져다준다는 것이다.

이 논리는 육아에도 적용된다. 아이를 잘 돌보는 부모가 요리나 자동차 수리 등 다른 분야에서도 능숙하다면, 아이 돌봄은 전문가에게 맡기고 사회활동에 집중하는 것이 가계 소득을 늘리는 데 더 유리하다.

하지만 자녀를 남에게 맡기는 것은 부모에게 결코 쉬운 결정이 아니다. 제주지역 영유아 돌봄 조력자 현황과 지원 방안 연구에 따르면 도내 육아 조력자의 90%가 조부모에게 아이를 맡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제주도의 아이돌보미는 정해진 교육기관에서 120시간의 이론 교육과 어린이집에서 실습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며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아이를 안전하게 돌보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한다. 또한 문제가 발생한 돌보미에게는 패널티를 부과해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연구용역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재정지출 1원은 4원의 생산유발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다른 분야의 지출보다 훨씬 높은 경제적 효과를 의미한다. 아이돌봄서비스는 단순히 가계의 소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넘어, 지역경제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치는 중요한 사업이다. <성민철 제주도 복지정책과>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280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