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란의 순대 사진. 스레드 화면 갈무리
최근 폐막한 제주시 전농로 왕벚꽃축제 현장에서 '순대 6조각을 2만5000원에 팔았다'는 온라인 게시글이 확산해 바가지 논란이 일자 제주도가 부당 요금 신고센터를 운영하기로 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런 내용의 '지역축제 바가지요금 관련 관리 대책'을 확정해 전날 모든 부서에 하달했다고 2일 밝혔다.
제주도는 이 대책에 따라 앞으로 개최할 예정인 도내 축제장에서 판매 품목에 대한 가격표와 메뉴판를 부스별로 내·외부에 게시하도록 한다다. 또 메뉴판에 음식 견본 사진을 넣고, 음식 모형을 판매 부스 앞에 비치하도록 권고한다.
'바가지 요금 신고센터'도 운영한다. 축제장 종합상황실에 바가지 신고센터를 설치해 부당 요금 등 유통질서를 어지럽히는 상행위에 대한 신고를 접수한다.
민원이 들오면 축제 주관 부서 공무원과 축제추진위원회가 즉시 현장 조사를 벌여 시정·계도에 나선다. 또 전농로 왕벚꽃축제처럼 바가지 가격 등 사회적 논란을 일으킬 경우 축제 평가 과정에서 불이익을 준다.
도 관계자는 "바가지 요금으로 논란을 일으키면 제주도 지정 축제 평가 과정에서 감점을 부여할 계획"이라며 "감점이 누적되면 지정 축제에서 탈락해 지원 되는 보조금이 감액된다"고 말했다.
이밖에 도는 지역 상인과 축제장 판매부스 참여자를 상대로 끼워팔기, 부당 요금 등 불공정행위 방지 교육과 위생·친절 서비스 교육도 실시한다.
그동안 제주 관광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던 고물가 논란은 지난달 30일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현재 논란 중인 제주 벚꽃축제 순대볶음'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올며 재점화했다.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렸던 전농로왕벚꽃축제를 찾은 것으로 보이는 한 방문객은 '순대 6조각에 2만5000원, 오케이…'라는 글과 함께 음식 사진을 올렸다. 이 글을 시작으로 다른 누리꾼도 "찐옥수수 하나에 5000원, 숯불꼬치 1만3000원, 군밤 한 봉지 1만원, 애들 풍선 기본 2만원, 아무리 축제라 해도 적당히 받아야지"라는 후기를 SNS에 올리며 바가지 요금 논란이 확산됐다.
오영훈 제주지사도 이런 바가지 요금을 겨냥해 지난달 30일 제주도청 탐라홀에서 열린 4월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제주관광 '고비용' 이미지 개선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오 지사는 당시 회의에서 비싼 갈치구이를 지적하며 "1인당 7만 원에서 10만 원까지 형성된 가격 체계는 1회전 객단가(고객 1인당 평균 구매액) 중심 사고방식에서 비롯됐다. 가격은 낮추고 회전율은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