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따라] (59)조천읍 와흘리

[양기훈의 제주마을 백리백경.. 가름 따라, 풍광 따라] (59)조천읍 와흘리
흘러내린 한라산 정기, 오롯이 받아내는 마을
  • 입력 : 2024. 02.23(금) 00:00
  • 오소범 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한라산의 정기를 받은 지맥 모양이 완만하고 천천히 바다로 흘러내리고 있어서 그 지형 모습이 편안하게 사람이 누워있는 형상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누울 臥에 산 높을 屹자를 써서 와흘리라고 한다. 옛날에는 눌흘이라고 불렀으나 세월이 흐르다 보니 눌흘이 논흘로 발음이 바뀌어 부르게 되고, 노늘로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1918년 이후, 한문 표기로 와흘리라고 부르게 되었다.

설촌의 유래는 고려 충정왕 때 정승을 지냈다는 김해 김씨 김만회가 이씨 조선이 개국하자 불사이군의 뜻을 굽히지 않아 제주로 귀양 오게 되었다. 그분의 9대손이 지금부터 350년 전 이곳 와흘리 팽나무 있는 곳에 이르러 사람이 살기 좋은 곳이라는 것을 알고 정착하게 된 것이 설촌의 배경이다. 마을 지명 중에 '불칸터'라는 곳에 먼저 살다가 큰불로 인하여 온 마을이 폐동됐다. 그래서 지금의 넓은 못 지역으로 이주하여 지금의 마을이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4·3으로 마을 전체가 불탔다가 1954년 재건되어 현재의 모습에 이른다. 본동, 상동, 고평동, 초평동, 전원동으로 구분되는 5개의 자연마을이 모여 와흘리를 이루고 있다.

500년 세월을 살아온 팽나무 아래 모셔진 굿당. 와흘리는 먼저 이 정신적 공동체에서 시작한다. 조상 대대로 마을 결속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해온 곳이기에 그러하다. 주민들의 삶을 관장하는 믿음은 절대적인 권위에 가까웠으리라. 이 당은 '와흘 한거리 하로산당' 또는 '노늘당'이라고 한다. 당에 좌정하고 있는 신은 송당 소로소천국의 열세 번째 아들인 산신또로 사냥을 하는 산신이기 때문에 당굿을 할 때는 산신놀이를 하는 특징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9-3호로 지정돼 있다. 자연마을 5곳 주민들이 음력 1월 14일 마을 본향당신에게 세배를 올리는 '신과세제'를 올리는 것은 독특한 문화이며 정체성이다. 이러한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지역역량 강화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중요한 자양분이 된다.

강익상 이장

강익상 이장에게 와흘리 마을공동체가 보유한 가장 큰 자긍심을 정신적 측면에서 묻자. 호쾌하게 웃으며 제주어로 대답했다. '나가 내놔불켜'정신! "저희 마을은 전통적으로 개척정신의 역사입니다. 그 밑에 면면히 흐르는 정신이 있다면 개척과 발음이 유사한 쾌척 정신입니다" 내가 마을을 위해 먼저 솔선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 생각하고 실천하는 주인의식이다. 남에게 미루기 전에 내가 먼저 나서서 힘든 일을 해버려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마을 주민 일부가 공동명의로 가지고 있던 먼남마루 10만 평을 마을 공동체에 기증해버린 아름다운 사연이다. 이 소중한 자산을 바탕으로 메밀축제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되고 마을 인지도를 확대하면서 그 파생력으로 다양한 마을사업들을 펼칠 수 있는 것. 마을 공동의 이익이 자신의 가족에게 더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혜안을 대대로 계승하였다는 것은 위대한 자부심.

그동안 마을공동체 사업들을 줄기차게 진행하면서 역대 이장 및 임원들이 발전 목표로 공감대를 이어온 키워드는 '품은 마을'이다. 천지인사상(天地人思想)에서 차용하여 구체화된 '하늘을 품은 마을' '땅을 품은 마을' '사람을 품은 마을' 이 셋을 품으면 모두를 품게 된다는 신념이다. 포용력보다 강한 힘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다는 확신으로 뭉쳐서 결속하는 정신적 무장이 참으로 거룩하다. 여기에는 어떠한 배타성도 들어설 여지가 없다. 개방적 마인드로 누구와도 협력할 수 있는 자세와 의지를 보유하고 있으니 와흘리의 미래는 이미 밝게 빛난다. 먼남마루 드넓은 메밀축제 공간에 미래지향적인 꿈을 펼치고 있는 과정을 바라보면서 마을 결속력의 위력을 새삼 느끼게 된다. 조상들이 이어온 와흘본향당 정신자산을 가지고 탐라의 신들을 모두 모셔서 '탐라신화의 고향'이라는 공원을 이룩하고자 하는 원대한 포부.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으니 10년 이내에 강산이 바뀔 정도의 꿈이 실현될 것이다. <시각예술가>

와흘 넓은 못
<연필소묘 79cm×35cm>

저 정자로 건너가는 다리 앞 큰 바위에 시를 새겨 넣은 것이 있다. 그 내용 중에 한 구절 때문에 이 그림을 그렸는지 모른다. '조상님들의 땀방울이 모이고 모여들어 여기 너븐못이 되었다.' 이보다 더 많은 양일 것이로되 시가 주는 상상력이려니 하고 받아들였다. 불굴의 의지로 오늘의 마을공동체를 이룩하고 발전시키는 주민들의 의지와 염원을 있게 한 것은 모름지기 저 땀방울들이다. 하늘을 받아들여 비추는 거울이다. 땅에 나무들도, 지나는 사람들도 모두가 저 연못이 품을 수 있다. 결국 마을의 정신을 그리게 된 것.

연필소묘로 와트만지에 물을 표현하면 얻을 수 있는 것이 참으로 많다. 가장 중요한 요소가 미세한 바람에 찰랑이는 물 표면의 느낌을 묘사할 수 있다는 장점. 채색을 하지 않아서 더 많은 색채적 유추를 가능하게 한다. 쾌청하게 맑은 날에도, 이슬비 내리는 날에도 변함이 없는 그 무엇을 공통분모로 만들어 그리는 행위가 단색화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주변의 나무들과 함께 어우러진 집들이며 돌담들은 연못과 정자, 그리고 건너가는 다리가 주는 강렬함에 밀려나 있으나, 그 형상들 또한 배경에서 코러스 합창단이 되어 이 소박한 연못을 품격 있게 하고 있다. 물이 주는 공간감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하였다. 흐르지 않는 물이로되 그 맑은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은 그만큼 와흘이 청정지역이라서. 깊은 여운이 솟아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주민들 또한 후손들을 위하여 저 못에 땀방울을 흘리고 있다는 사실.

한라산과 먼남마루의 일몰
<수채화 79cm×35cm>

섬 제주의 중산간 비경들 중에 이토록 광범위한 욕심꾸러기 풍광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특히 늦은 오후에서 일몰에 이르는 시간에 태양광선이 빚어내는 인상주의적 화면은 한라산과 오름들, 거기에 곶자왈들의 이미지까지 시각적 풍요를 노래한다. 메밀축제장소로 명성이 높은 이곳이 가지는 진가를 확인하고 싶어서 더욱 열정적으로 그렸다. 계절에 따라, 날씨에 따라서 변화무쌍한 일몰의 광선예술을 펼쳐 보이는 이곳은 놀라운 관광자원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왼쪽에서 오름들로 도움닫기를 하여 백록담에 이르는 음악적 멜로디가 지는 해가 뿜어내는 막대한 양의 광선 속으로 긴 여운을 그리며 사라지는 공간적 심포니를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색채의 보물창고다. 일몰에 이르는 시간동안 여기에서는 무지개 색상환이 모두 등장한다. 왼쪽에서부터 파란색, 초록색이 시작되어 오른쪽 끝에 보라색에 이르는 동안 하늘에는 빨강과 주황, 노랑이 투명하게 수놓아진 놀라움. 사진의 기계적인 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신비감을 사람의 눈으로 받아들이는 희열이 여기에 있다. 더욱 놀랍고 흥미로운 것은 밭 가운데 제주 현무암으로 조형물을 만들었기에 주인공으로 그렸다. 둥글게 뚫린 신비감을 통하여 보이는 한라산 정상은 이 돌짜임이 외계를 향하여 차원 이동을 할 수 있는 차원 높은 과학적 시설이라는 황당한 주장을 하게 된다. 저 둥근 구멍으로 걸어 들어가면 백록담으로 순간이동 될 터이니, 실질적인 백록담 입구라는 황당한 상상을 그렸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65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