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영택의 한라칼럼] 아! 귤림서원이여…

[문영택의 한라칼럼] 아! 귤림서원이여…
  • 입력 : 2025. 01.21(화) 05:00
  • 고성현 기자 kss0817@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 2019년 유네스코는 조선 최초로 세워진 소수서원 등 9개의 서원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면서 "서원은 성리학이 한국 여건에 맞게 변화한 역사적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지금의 공사립 중등학교 격인 서원을 세우려면 사재(祠齋) 즉 사당과 재실(공부방)을 갖춰야 했다. 제주에서는 기묘사화로 사사된 충암 김정을 모신 사당인 '충암묘'를 1578년 조인후 판관이 가락천 동쪽에 세우더니, 1659년 명도암 김진용의 건의로 제주목사 이괴가 한성판윤을 지낸 영곡 고득종의 집터에 유생의 공부방인 장수당을 짓고, 충암묘를 장수당 곁으로 옮겼다. 1682년 숙종임금이 예조정랑 안건지를 보내 사액(賜額)을 내리니, 제주 최초의 사액서원인 귤림서원이 개교했다. 이후 귤림서원 사당에 목사 송인수, 어사 김상헌, 유배객 정온·송시열 등 오현을 모시나, 1871년 대원군이 내린 서원철폐령으로 귤림서원은 폐교된다. 1892년 해은 김희정 등이 귤림서원 자리에 5현을 기리는 조두석 5기와 제단 등을 세우니, 이곳이 1971년 지방문화재 1호로 지정된 오현단이다.

1907년 제주군수 윤원구 등이 사립의신학교(제주일중·제주고의 전신)를 세우고, 1940년 학교가 서사라 등지로 옮겨가 비워있던 터에서 해방 후 개교한 오현중·고가 1972년 화북으로 옮겨간 후 이곳은 민간에게 매각되니, 제주교육의 요람인 귤림서원은 오늘날처럼 쪼그라들고 말았다.

2004년 이후 당국에서는 오현단 경내에 고득종·김진용 향현들을 모신 향현사와 사재를 복원하면서 재실에는 장수당이란 편액을 적절하게 게시하나. 사당에는 '귤림서원'이라는 편액을 엉뚱하게 달았다. 이는 서원의 역사와 가치를 외면하거나 무시한 처사이다. 귤림서원은 사당이 아닌 서원의 이름이기에, 귤림서원 편액은 사당이 아닌 서원 입구에 달아야 한다. 그럼 사당의 이름은?

1577년 조선의 문장가 백호 임제는 부친인 임진 목사를 뵈러 제주에 왔다가, 마침 이곳을 둘러보곤 충암묘기를 지었다. 다음은 그중 일부다. "판관(조인후)의 뜻이 아름답고 훌륭하기에, 이제 그분의 요청으로 기문을 짓고 제사를 올린다." 1771년 대정현에 유배됐던 권진응은 이곳을 찾아와 지은 귤림서원기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유배가 풀린 나는 (오현의) 유적들을 찾았다. 우암 선생의 유배지에 비석을 세우고, 판서정에서는 충암의 흔적을 볼 수 있었다. 나머지 세 사람의 유적에 대해서는 아는 이가 없었다. '귤림사(橘林祠)'에 절을 하고 물러 나와 여러 유생들에게 …."

귤림서원 원장을 역임한 필자는 오현단 주변을 오가는 이들로부터 귤림서원 사당 등에 잘못된 편액이 달려 있다는 지적을 여러 번 받기도 했다. 이에 당국에서 귤림서원 입구와 사당 등에 제대로 된 편액과 정보를 안내하고 제주의 정체성을 바르게 알리는 데도 적극 나서기를 기대해 본다. <문영택 귤림서원 전 원장·질래토비 이사장>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1719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김경수 2025.01.26 (21:32:26)삭제
이글은 한 문장에서 앞에 구절은 않 읽고 뒤에 문장만 읽어주장하여 생기는 오류가 있습니다. 글쓴이가 주장하는 拜橘林祠앞 문장에 島人立冲庵廟(제주도민이 충암묘를 세웠다)를 佛眼豚目형태의 본인이 보고저 하는것만 보고 듣고저만 하는것을 듣는 편향적 주장입니다. 국사편찬위원이나 1950년 제주도내 석학들 모임인 담수계가 편찬한 역주증보탐라지의 p356,p359.p340의 충암묘라고 명문화 한것과도 괴리 있는 주장입니다. 이는 역사를 왜곡하고 사회의 손실을 조장하는 주장일 뿐입니다. "濟州東城 橘林之傍有祠焉 卽冲庵金淨 圭庵宋麟壽 桐溪鄭薀 淸陰金尙憲 尤庵宋時烈 俎豆之地也 五先生 或以官或以竄 先後居此地 雖其時有困享之異而其賢德之爲島人觀感一也 島人立冲庵廟 請額于朝 賜號橘林 官與其祭 後又以四先生 請享焉 嗚呼 正德己卯 冲庵首被北門之禍 嘉靖丁末 圭庵又羅壁書之禍 甲寅 西宮之變 桐溪十年幽囚 丙子 天飜之日 淸陰杖節雪窖以明大義 若我尤庵先生 卽請明朱子之學 擔負綱常之重 斥邪扶正 爲羣少所仇疾 終被己巳之禍 君子之不得於天久矣 五先生 終始厄其命 嗚呼 其可悲也 余於辛卬春 以言玃罪 練囚大靜 旣而蒙宥 慨然訪其遺蠋 尤翁之謫廬墟矣 遂立石識之 至所謂板書井 觀冲庵古跡 餘無有知者 拜橘林祠 退而語諸生曰 惟玆五先生造詣門庭 雖各有異 要之皆明天理正人心 有功於斯文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