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 '제주 지역 산후조리 실태와 지원 방안' 브리프
[한라일보] 제주 지역 산후조리원 가동률이 60% 미만인 가운데 민간 시설 공공성을 강화하고 공공산후조리원 이용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은 6일 이런 내용이 담긴 '제주 지역 산후조리 실태와 지원 방안"(연구책임 정여진 선임연구위원) 브리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4년 6월 기준 전국의 산후조리원은 총 452개소이고 이 중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산후조리원은 21개소다. 제주는 7개소(제주시 5, 서귀포시 2)로 제주시는 모두 민간 시설이고 서귀포시에는 공공산후조리원 1개소와 서귀포의료원 부설 조리원 1개소가 있다.
가동률은 평균 54.5%로 낮은 편이나 시설에 따라 6%에서 90.9%까지 차이가 컸다. 임산부실이 적은 영세한 시설의 가동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3년마다 실시하는 보건복지부의 산후조리 실태 조사(2021년)를 근거로 제주 지역 데이터도 2차 분석했다. 그 결과 제주 산모들은 산후조리 장소로 산후조리원(63.6%)을 가장 선호했지만 전국에 비해서는 14.5%p 낮았다. 반면 본인 집과 친정은 전국에 비해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산후조리원 이용 평균 비용은 201만 4000원으로 전국에 비해 41만 7000원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2023년 보건복지부 자료를 보면 서귀포의료원과 공공산후조리원을 제외한 민간 산후조리원의 이용 금액은 약 360만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들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 '산후조리 경비 지원', '배우자 육아 휴직 활성화' 등을 꼽았다. 이 가운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에 대한 수요는 제주가 전국에 비해 5.6%p 높았다.
이에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민간 산후조리원 평가제도 도입과 공공성 강화 ▷취약 계층 산후조리 비용 지원 확대 ▷배우자 대상 임신·출산 교육 확대 ▷가정 산후조리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지원 강화 ▷산모의 정신건강 지원 강화 등 다섯 가지를 제시했다. 정 연구위원은 "제주도의 성·재생산 건강과 관련된 총 32개 사업 중 24개가 임신과 출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출산 후 산후조리 관련 정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라며 "산모의 신체적 건강 관리만이 아니라 정신건강 지원 등 출산 후 산모에 대한 정책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