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전문가와 시민 의견을 토대로 지난해 말 '제주종합스포츠타운 용역'을 완료한 제주도가 이번엔 용역 결과에 대한 시민들 의견을 묻겠다며 '원탁토론'에 나서기로 하자 의회에서 '행정력 낭비'라는 질타가 이어졌다.
15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1회 추경 심사에서는 제주도가 '종합스포츠타운 조성 실현방안 원탁토론회' 운영비가 도마에 올랐다.
앞서 제주도는 지난해 11월29일 제주시 삼도동 제주종합운동장을 허물어 스포츠와 상업시설이 어우러진 종합스포츠타운으로 조성하는 내용의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용역진은 총 세가지 개발 방안 중 제주종합경기장(22만1618㎡)을 철거해 그 자리에 1만 5000석 규모의 축구장과 3500석 규모의 체육관 등 스포츠시설과 함께 면세점과 전통시장, 스포츠용품 매장, 푸드 코트 등 복합 엔터테인먼트 센터를 짓는 1안을 최적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개발 방식은 상업시설 건립 비용을 기업이 부담하고 체육시설은 지자체가 책임지는 형태는 총 사업비는 민자를 포함해 8447억원으로 추산됐다.
용역진은 이런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회의를 포함해 시민 800여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는 등 의견 수렴을 거쳤다.
제주도는 이번 추경에서 용역 결과에 대한 실행 가능성을 높이려면 다시 전문가와 시민 등을 상대로 의견을 수렴하는 원탁토론이 필요하다며 운영비로 3000만원을 편성했다.

질의하는 제주자치도의회 강철남 양영수 의원(왼쪽부터).
반면 의원들은 용역이 끝난 뒤 원탁토론을 한 사례가 없을 뿐더러 행정력도 낭비된다고 반박했다.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연동 을)은 "종합스포츠타운 용역에 1억8000만원이 투입됐는데, 이 용역 결과를 갖고 다시 원탁토론을 하는게 앞뒤가 맞는 절차이냐"며 "(의견 수렴이 더 필요하다면) 용역에서 충분히 했어야 했는데 (원탁토론을 하게되면) 행정 절차가 이중화되고 행정력도 낭비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강 의원은 "그럼 앞으로 제주도가 하는 모든 용역은 완료 후 원탁토론을 거쳐야 하는 것이냐"며 "또 원탁토론 결과와 용역 결과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오는 등) 충돌하면 그 때는 어떻게 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양영수 의원(진보당, 제주시 아라동 을)도 "용역 과정에서 종목단체 체육인 의견 수렴,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쳤는데 다시 또 숙고하겠다며 원탁토론 예산이 올라왔다. 돌다리만 두들기다가 끝날 것이냐"고 지적했다. 김대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서귀포시 동홍동)도 "(충분한 의견 수렴이 더 필요하다면) 용역 과정에서 미리 반영됐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런 지적에 대해 김양보 문화체육교육국장은 "종합스포츠타운은 향후 40~50년 미래를 내다보면서 추진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어 원탁토론을 추진하는 것"이라며 "용역결과를 보완하는 성격으로 이해해달라"고 해명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