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한 민방위대피소. 진입로가 계단으로 돼 있어 휠체어 이용자들이 접근할 수 없다. (사)제주장애인인권포럼 제공
[한라일보] 제주지역 민방위대피소 5곳 중 4곳 꼴로 진입로가 계단으로 돼 있거나 경사가 너무 가팔라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약자와 장애인이 혼자서는 대피를 할 수 없는 환경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제주장애인인권포럼(이하 인권포럼)은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민방위대피소 접근성 모니터링 결과보고서'를 공개했다.
도내 민방위대피소는 모두 440곳이지만, 인권포럼은 제주시 3곳, 서귀포시 7곳을 제외한 430곳의 대피소를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전체의 32%에 해당하는 136곳이 지하공간으로 진입하는 방식이 계단 혹은 주차장으로 돼 있어 휠체어 이용자들이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피소는 공습에 대비해 지하공간에 마련된다. 지하철역, 지하주차장, 큰 건물 지하실이 해당된다.
그나마 휠체어로 진입할 수 있는 대피소 294곳 중에서도 206곳은 경사가 너무 가팔라 단독으로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실제 휠체어 이용자 혼자서 대피를 할 수 있는 곳은 전체의 20%인 88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시작장애인인을 위한 점자표기가 설치된 곳은 전체에서 단 1곳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통해 접근해야해 휠체어 이용자들의 접근성은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인권포럼은 장애인들은 대피소를 파악해도 진입할 수 없어 대피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제주도가 비상상활 발생시 혼란을 방지하고 안전의식을 도모하기 위해 두차례나 '우리동네 대피소 알기' 캠페인을 진행했지만 어느 곳에서도 장애인들이 참여한 행사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인권포럼 관계자는 "정보취약계층이자 안전취약계층인 장애인은 재난, 비상상황에서 항상 뒷전이 된다"며 "도에서 수립하는 계획이나 매뉴얼 등에서 비장애인과 함께 고려되고 논의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