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09] 3부 오름-(68)칡오름, 호수가 있는 오름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09] 3부 오름-(68)칡오름, 호수가 있는 오름
칡이 많아 칡오름, 어형의 유사성에 기댄 황당한 해석
  • 입력 : 2024. 12.24(화) 05:00
  • 오소범 기자 sobo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어 '끅'은
'칡'에서 나온 말일까?




[한라일보]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산155번지 표고 303.9m, 비고 49m이다. 구좌읍 송당목장 안의 민오름과 연접해 있다. 대천동사거리에서 비자림로를 따라가다 금백조로로 우회전하면 오른쪽으로 바로 볼 수 있다. 1709년 탐라지도 등에 갈악(葛岳)으로 표기한 이래 여러 고전에 칠악(漆岳), 갈산(葛山) 등으로 표기하였다. 지역에서는 칠오름이라고 부르고 네이버지도와 카카오맵에 칡오름으로 표기하였다.

칡오름(오른쪽) 앞의 넓은 호수, 왼쪽 오름은 민오름이다(2016년 3월 촬영).

이 오름 지명은 이같이 갈악(葛岳), 칠악(漆岳), 칠오름, 칡오름 등 4개 정도 검색된다. 칠오름 혹은 칠악(漆岳)의 '칠'은 칡에 대응하는 '칠'의 음가자 표기라고 한 연구서가 있다. 즉, 칡의 제주어는 칠이라는 뜻인데, 제주어에 이런 말은 없다. 그리고 현재 지역에서 칠오름이라 하는 점을 들어 '칠'이란 칡을 지시하는 중세국어 'ㅤㅊㅡㄺ'이 '츨'로 되고 이 말이 '칠'로 실현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실 'ㅤㅊㅡㄺ'은 15세기 중반인 1466년 구급방언해에 처음 나타난다. 18세기에 'ㅅ, ㅈ, ㅊ'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변하는 전설 모음화를 거쳐 19세기에 '칡'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런 설명은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측면이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ㅤㅊㅡㄺ'이 '측'이 되고, 이 말은 '끅'이라는 말로도 변화했다는 설명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칡'이 단일어 즉, 덩굴식물 칡을 지시할 때는 '칙' 또는 '끅'으로 실현되고, 오름 이름으로 쓸 때는 '칠'로 실현된다고 한다. 그러면서 이 칠오름이란 칡이 많다는 데서 붙은 이름이라는 것이다. 어형의 유사성에 기댄 황당한 해석이다. 이 연구서는 왜 중세어 'ㅤㅊㅡㄺ'이 '측'이 되고, 이 말은 '끅'이라는 말로도 변화했다고 설명할까? 정말 제주어 '끅'이라는 말은 'ㅤㅊㅡㄺ'에서 분화했나?



'끅'은 제주 고유어,
칡과 기원이 달라


이런 설명의 본질은 '칙'과 '끅'이 같은 어원에서 출발했냐는 것이다. 제주어에 칡을 '칙'이라고 하는 건 맞다. 그러나 칠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그래도 어쩌다 칡을 칠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거나 이 말은 '끅'이라는 말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끅'이라고 하는 말을 들은 기록자는 제주어에서 이 말이 칡을 지시하므로 자연스레 칡을 연상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칡과 '끅'이 어원을 공유하는 건 아니다.

칡이란 만주어 주르흐(jurhu), 길약어 툭스(tuks)와 어원을 공유한다는 견해가 있다. 그중에서 특히 만주어 '주르흐'와 대응하는 고유어로 보고 있다. 지금도 만주어로 칡을 '주르흐'라고 한다. 이 말의 어원은 중세국어와 같은 'ㅤㅊㅡㄺ'이다. 즉, 'ㅤㅊㅡㄺ(chilk)'이 '주르흐(jurhu)'로 변한 것이다. 국어의 주변어 중 만주어와 길약어 등과 어원을 공유하는 고유어다.

제주어 '끅'의 파생어는 다양하다. 우선 칡을 '끅'이라고 한다. 칡으로 만든 갈체를 '끅갈체', 칡줄을 '끅꿀'이라고 하고 칡뿌리를 '끅불휘', 칡으로 만든 신을 '끅신'이라 한다. 칡뿌리로 만든 엿을 '끅엿', 칡줄기를 '끅줄'이라고 한다. 일상생활에서 칡을 '끅'이라고 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과연 이 '끅'은 칡의 변음일까?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칡은 ㅤㅊㅡㄺ에서 기원한 것이고, 이 말은 주변 여러 언어 ㅤㅊㅡㄺ과 공통어원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언어나 방언에서도 '끅'은 나타나지 않는다. 제주어에서만 볼 수 있는 말이다. 따라서 이 말의 기원은 다른 데 있다는 뜻이 된다.

돌궐어 조상어에 '카라구'가 있다. 원래 갈대를 지시한다. 이 말은 카라니드어에 '카르구', 투르크어에 '카르기', 아제르바이잔어에 '가르기', 투르크메니스탄어 '가르기'; 칼라즈어 '가르요', 중세 돌궐어 '카르구' 또는 '카르쿠'에 대응한다. 이 말은 덩굴을 지시하는 말로 분화하면서 일본고어에선 '칸투라'가 덩굴, 덩굴식물을 지시한다. 제주어 '끅'은 이 말과 동원일 것이다. 즉, '끅'이란 원래 돌궐 고어의 갈대를 지시하는 '가라구'에서 기원하여 점차 축약하는 형태로 바뀌어 '끅'으로 분화하고 칡(덩굴)을 의미하는 말로 변한 것이다.





칡오름이란 호수가 있는 오름,
끌오름에서 기원


과연 칡오름이 칡이 많다는 데서 붙여진 지명일까? 칡이란 식물이 일시적이 아니라 지명에 반영할 만큼 장기간 지속하여 우세하게 번성해 있었을까? 칡이 이렇게 우세할 어떤 여건이 특별히 이 오름에 있는 것일까? 이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서귀포시 상효동에 똑같은 지명을 쓰는 오름이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끅' 혹은 '칙'이란 제주어로 칡을 지시한다는 점은 위와 같다. '끅'이란 칡을 지시하는 말이므로 칡오름이라 한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이 오름의 이름은 원래 끌오름이며, 이 '끌'이 현실적으로 사물을 지시하는 어휘라고 하기에는 생소하므로 어떤 연상작용에 이끌리어 '끅'으로 발음하게 되고, 종국에는 '끅'이 지시하는 칡을 떠올리게 되어 한자 표기 과정에서 갈(葛)을 차용하게 된 것이다. 갈(葛)은 훈몽자회, 신증유합, 유씨물명고 등 고전에 모두 'ㅤㅊㅡㄺ 갈'로 나온다. 훈가자를 차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오름이 끌오름이었다는 것은 이 오름에 인접하여 큰 호수가 있다는 점에서 넉넉히 인정할 수 있다. 호수가 있는 오름이란 뜻이다. 트랜스 유라시아권의 여러 언어에서 호수를 쿨, 클, 글, 골로 부른다는 점은 이미 밝힌 바 대로다. 호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투르크어 기원이다. 칡오름은 호수가 있는 오름이라는 뜻이다. 칡오름이라 부르는 여타의 오름들도 이런 뜻에서 기원한다.

김찬수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615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