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추념일 지방공휴일 정착 언제쯤.. "권고할 뿐?"

제주 4·3추념일 지방공휴일 정착 언제쯤.. "권고할 뿐?"
2018년 도의회서 지정 조례 제정했지만 운영 한계
"초·중학교 등 확대 미래 세대가 4·3 기억하게 해야"
  • 입력 : 2025. 04.06(일) 16:49  수정 : 2025. 04. 08(화) 18:09
  •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 3일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 한라일보 DB

[한라일보] 국가 기념일인 4·3희생자 추념일의 지방공휴일 지정 의미를 살리기 위해 어린이·청소년들의 참여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6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 4·3희생자 추념일 지방공휴일 지정 조례'가 제정된 해는 2018년이다. 지방공휴일은 '지방자치단체의 관공서가 특별히 휴무하는 날'로 도지사는 4·3희생자 추념일에 '제주 공동체가 4·3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4·3희생자를 추념하는 데 적극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2021년 조례 개정을 통해 이듬해부터 4·3지방공휴일을 달력에 표기할 수 있도록 만들었던 도의회는 당시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가슴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도록 미래 세대에 역사적 교훈과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제주도에서는 4·3추념일에 맞춰 산하 지방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에 지방공휴일 시행을 권고하고, 학교 등에는 동참을 권고해 왔다. 하지만 지자체 공무원을 제외하면 4월 3일에 추념식장인 제주4·3평화공원을 찾거나 별도 추념 행사를 갖는 사례는 드물다. 4·3지방공휴일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나 지역 사회에서는 여전히 정착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지난 3월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가 제주도 4·3지원과 등에서 2025년 주요 업무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양영수 의원(진보당, 제주시 아라동을)은 4·3지방공휴일 시행 확산을 위한 대책을 주문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 측은 "도 산하의 지방공공기관, 출자·출연기관, 교육청, 일반 공공기관 등에 권고를 하고 있다"며 "실질적으로 공휴일로 지정해서 운영하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 답했다.

양영수 의원은 한라일보와의 통화에서 "올해 4·3추념식장에는 그나마 젊은 학생들이 있었는데 그곳을 벗어나면 찾아보기 힘들더라"며 "지방공휴일을 확대 시행해 초등학교, 중학교 때부터 제주4·3을 제대로 기억할 수 있도록 향후 교육감 선거 공약 제안 등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406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