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정당 인사들이 3일 열린 제주4·3 국가추념식에 참석해 4·3영령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강희만 기자
[한라일보] 야권을 중심으로 한 각 정당 지도부 인사들이 제주4·3 국가추념식에 일제히 참석해 "다시는 이런 국가 폭력 사태가 없어야 한다"며 4·3영령들을 위로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3일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난자리에서 "(4·3 당시) 대한민국 최초의 계엄령에 제주도민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3만명 가까운 사람들이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은 채 총칼에 의해 죽어갔다"며 "이런 국가폭력은 어떤 경우에도 용서할 수 없고 다시는 재발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겨냥해 "4·3계엄에 의한 국민 학살이 결국 단죄되지 못했고, 그 때문에 다시 1980년 5월 계엄령에 의한 국민 학살이 이어졌다"며 "그에 대한 책임을 완벽하게 묻지 못했기 때문에 오늘날 다시 계엄에 의한 군정을 꿈꾸는 황당무계한 일이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국가폭력 범죄에 대해선 공소시효를 영구히 배제하는 법을 통과시켰지만 (대통령) 권한대행들에 의해서 거부 당했다"며 "반드시 국가폭력범죄 공소시효배제법을 재발의해서 통과시키도록 하겠다. 다시는 가족을 잃고 고통 속에 몸부림치는 이런 영상을 보지 않게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당 대표 대행은 "제주 4·3은 국가폭력이 낳은 비극으로 국민을 학살한 악행의 역사"라며 "그 아픔이 과거에만 머무르지 않고 대물림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불행한 역사의 악순환을 멈추려면 국민 위에 군림하고 말을 안 들으면 학살하는 악행을 뿌리부터 뽑아야 한다"며 "윤석열 파면은 4·3에서 시작된 국가폭력 악순환을 끊는 선언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김 대행은 4·3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해 유족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형사처벌하는 4·3특별법 개정안과 제주4·3트라우마치유센터 운영비 전액을 국비로 지원하는 개정안은 당론으로 정해 통과시켔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4·3추념식에 3년 연속 불참한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천하람 개혁신당 당 대표 대행은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가 참석하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4·3의 아픔마저도 이념적으로, 또 정무적으로 정치적 쟁점으로 삼는 것 같아서 굉장히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선 과거의 아픔을 잘 보듬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며 "늘 동백의 아픔을 함께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는 "윤석열 정부 들어 제주4·3이 많이 공격받고 왜곡되고 있는데 희생자들에 대한 제대로 된 조치가 국가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진보당 김재연 상임대표는 '77주년을 계기로 4·3 특별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더이상 4·3의 정신이 훼손되지 않고 도민들 명예가 회복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날 국민의힘 중앙당 인사 중 유일하게 참석한 최형두 의원은 "당 대표가 없는 비상체제여서 부득이 혼자 대신해서 왔다"며 "국민의 비극을 승화시켜 제주를 다시 한번 통합의 섬으로 이끌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