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하논분화구, 핵심구역부터 사유지 매입을"

"서귀포시 하논분화구, 핵심구역부터 사유지 매입을"
'하논분화구 보전·현명한 이용 기본계획 용역' 최종보고회
10년에 걸쳐 단·중·장기로 나눠 공간환경 복원·생태관광 등
장기적으로 국토부가 지정하는 '국가도시공원' 지정도 제안
  • 입력 : 2025. 03.25(화) 18:28  수정 : 2025. 03. 26(수) 20:33
  • 문미숙기자 ms@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는 25일 서귀포시 2청사에서 '하논분화구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문미숙기자

[한라일보] 서귀포시에 위치한 하논분화구의 체계적 보전 관리와 현명한 이용을 위해 10년에 걸쳐 단계별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 전체 토지의 92%를 차지하는 사유지의 단계적 매입과 중장기적으로는 주변의 생태·관광자원과 연계해 '국가도시공원' 추진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제주도는 25일 서귀포시 2청사에서 '하논분화구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하논분화구는 한반도 유일의 마르(maar)형 분화구로, 약 5만년 동안 쌍인 퇴적층에 기후변화·식생변화, 생물다양성 등의 환경정보가 담겨 있어 생태계의 박물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용역진은 하논분화구의 보전과 이용을 위해 사전 준비기(2025~2027년)~운영기반 구축기(2028~2031년)~사후관리·확산기(2032~2034년) 등 단계별 관리시스템 구축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했다. 10년 동안 토지 매입에서부터 시설 마련, 프로그램 운영과 상품화를 위한 사업비로는 298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하논분화구의 가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가치·경관·생물다양성 등을 위해 체계적인 보전이 필요한 핵심구역(답·구거지역)과 관리구역으로 나눠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했다. 토지 매입은 1단계로 핵심구역 내 매도 의사 토지 중 활용가능 토지를 우선 매입하고, 매도의사가 없는 토지는 10년 이상 장기 임대 활용을 제시했다.

현명한 이용을 위해서는 최근의 여행 트랜드에 따라 하논에 담긴 이야기와 가치를 품은 '서귀포 치유명소'로 보전·활용해 주민 일자리와 소득창출로 이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의 모색을 제안했다. 하논상회(족욕·로컬마켓·푸드트럭), 하논 팜핑(Farm+Camping) 체험 상품화, 팜핑과 연계한 하논푸드(밀키트) 상품화 등이다.

필수시설로는 수로 정비를 통한 환경 개선과 용천수 정비, 하논 마르퇴적층의 가치 보전을 위한 농지 내 수목 제거가 필요하다고 봤다. 하논의 가치 공유와 확산을 위한 에코뮤지엄 조성과 하논의 옛 스토리를 활용한 생태체험 상징공간 마련도 제시했다.

용역진은 중장기적으로 국가정책과 연계해 사업 추진의 효율성과 실천 가능성을 높이는 위해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국가도시공원' 지정 추진 모색도 제안했다. 국가도시공원은 자연경관과 역사문화유산 등의 보전을 위해 도시공원 중에서 국가가 지정하는 공원으로, 현재 인천(소래염전)과 부산( 낙동강하구)에서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논분화구를 중심으로 걸매생태공원, 칠십리공원, 삼매봉공원 주변의 생태·문화·관광 자산을 연계하는 생태축을 구축해 국가도시공원으로 추진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28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