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민 61.8%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 필요"

제주도민 61.8%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 필요"
도, 하반기 시범 운영 앞둬 1500여 명 설문 조사
응답자 10명 중 8명 "의료 접근성 측면서 중요"
주치의 사업 이용 의향 읍면이 동 지역보다 높아
  • 입력 : 2025. 02.19(수) 15:34  수정 : 2025. 02. 20(목) 12:49
  •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 한라일보DB

[한라일보] 제주도민 10명 중 6명은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 필요성에 공감했다. 읍면 지역에서는 사업 시행 시 이용하겠다는 응답자가 10명 중 6명꼴이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19일 공개했다. 이 조사는 제주도가 일차의료체계 혁신 사업으로 추진 중인 건강주치의 사업의 도민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사업 모델을 구체화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 11~12월 30세 이상 도민 1507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설문 결과 이 사업이 필요하다는 도민은 61.8%, 보통 27.1%, 불필요 11.0%로 나왔다. 응답자의 87.6%는 의료 접근성 측면에서 건강주치의 사업이 중요하다고 했다.

사업 시행 시 이용 의향은 읍면 61.3%, 동 지역 58.3%로 의료 취약지의 수요가 더 컸다. 일차의료 건강주치의 이용 특징 중에서는 접근성(87.7%)을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꼽았다. 필요시 의사의 방문 진료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는 57.6%였다.

이와 함께 전체의 48.4%는 정기적으로 진료받는 단골 의원을 이용하고 있다고 했다. 읍면(55.5%) 거주자가 동 지역(41.5%)보다 이용률이 높았다.

제주도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범 사업에 대한 도민 인지도 제고와 공감대 확산에 나서기로 했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에 대해 "처음 듣는다"고 답한 비율이 75.1%였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현재 제주형 건강주치의 사업 모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 계획이 확정되기 전 제도의 개념과 필요성 등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알릴 예정이다. 시범 사업 실행 계획이 정해지면 의료계와 노인·아동 관련 기관·단체를 중심으로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한다. 시범 사업은 오는 7월 시행을 목표로 뒀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민 눈높이에 맞는 홍보를 강화하고 의료 취약 지역을 우선 고려한 사업 모델을 수립해 도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1093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