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서귀포시가 중·장년층 1인가구의 위기도가 높아짐에 따라 복지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민관 복지 네트워크를 활용한 신고체계 강화에 나선다.
시는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한 복지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민관 신고체계를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2022년부터 운영 중인 카카오톡채널 '서귀포 희망소도리'의 시민 가입과 위기가구 제보를 활성화하고, 우체국 집배원(70명)과 상하수도검침원(19명)을 활용한 신고 체계도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는 희망소도리 가입자 519명이 위기가구 78가구를 제보해 110건의 서비스를 연계했다.
지역 인적자원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조사도 추진할 계획이다. 매년 상·하반기 추진하는 고독사 예방 장년층 1인 가구 실태조사와 함께 복지매니저를 활용한 여관·모텔 등 거주 가구 실태조사도 추진한다. 또 보건복지부 위기정보 47종 빅데이터(행복e음)를 활용한 위기가구 조사도 연 6회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 4724가구를 대상으로 한 장년층 1인가구 고독사 예방실태 조사에서는 480가구를 발굴해 474건의 서비스를 연계했다. 복지 매니저를 활용한 여관·모텔 거주 285가구를 조사해 157가구에 서비스를 연계하기도 했다. 빅데이터 입수 위기정보 활용조사에서도 2941가구의 위기기구를 발굴, 각종 서비스를 연계한 것도 5050건에 이른다.
위기가구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1인 가구의 안부 확인을 지원하는 스마트 플러그 사업, 빅데이터 안부확인 사업(한전, SKT 협력), 건강음료 지원사업 대상자를 지난해 1098명에서 올해 1200명으로 확대한다. 2023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공동모금회 기탁금을 활용한 위기 청·장년 사각지대를 지원하는'청춘 돌봄 사업' 위기가구 생계비 지원금은 지난해 2인 기준 117만8000원에서 올해 120만5000원으로 올린다.
시 관계자는 "중·장년 1인가구의 위기도가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올해 민간과 협력한 중장년 가구의 안부 확인, 외출 유도,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